인지부조화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알리미 현아입니다 :D
어떤 일이 좋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것을 부정한 적이 있으신가요?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것을 인지부조화라고 하는데요, 반대되는 가치, 생각, 믿음을 두 가지 이상 가지거나 기존에 지니고 있던 것과 상반되는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었을 때 개인이 받는 불편한 경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일컫습니다.
사람은 이런 불일치를 겪을 때 심리적으로 불편하여 불일치적인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피하거나 줄이고자 합니다.
인지부조화를 겪을 경우 사람들은 체념, 고착, 퇴행, 합리화, 공격적인 증상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오늘은 인지부조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인지 간의 관계
인지와 행동의 관계와 두 개의 인지들의 관계로 인지 간의 관계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인지 간의 관계에서 여러 방법을 통해 그들의 행동이나 태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인지와 행동이 무관할 때, 두 인지나 행동이 다른 것과 관련이 없을 경우입니다. 인지와 행동이 일치한다면, 두 인지나 행동이 다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이고, 인지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두 인지나 행동이 다른 하나와 상반되는 경우입니다.
2.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인지부조화 이론은 사람들이 현실과 자신들의 경험 사이에서 일치를 추구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의 행동이나 인지를 다른 것과 일치시키려고 불일치를 해결하려 할 것입니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인 레온 페스팅거의 말에 의하면 부조화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네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앞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으리라 다짐했다고 생각해봅시다. 하지만 담배 한 갑을 폈다면, 부조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첫 번째는 행동을 바꿈으로써 담배를 더 이상 피지 않습니다. 다음은 조금은 펴도 상관없다면서 스스로 인지하는 것을 바꿉니다. 혹은 적당한 담배는 신체에 괜찮다며 새로운 인지를 통해 행동을 정당화하기도 합니다. 담배는 해로운 것이 아니라는 가지고 있는 믿음을 바탕으로 정보를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3.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인지부조화
인지부조화 이론은 몇 가지 분야에서 실용적으로 적용되기도 합니다.
마케팅 분야에서는 빈번히 소비자들의 인지부조화를 이해하고 연구합니다. 물건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의 인지부조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많은 돈이 연관되어 있으며, 다양한 대안들 사이에서 고객들의 선택이 자유로워야 하는 것은 물론 결정은 되돌릴 수 없어야 합니다.
교육 분야에서는 주로 동기 부여를 목적으로 인지부조화가 이용됩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바람으로부터 오는 인지부조화는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외부적인 보상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학생들에게 강력한 동기를 부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가령 유치원생들에게 퍼즐을 맞추면 보상을 준다고 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하였을 때, 보상을 언급하지 않았을 경우가 퍼즐에 대한 흥미가 높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자발적이 아닌 동기 부여로 인해 일을 한다면 즐거움이 적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심리치료에서 또한 인지부조화 이론이 적용됩니다. 여러 사회적 심리학자들은 자유롭게 치료를 선택하고, 고객들이 선택한 치료에 돈과 노력을 투자하였을 때 그 치료의 효과가 뚜렷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어느 한 연구에 따르면, 비만인 아이들이 자유롭게 치료를 받을 때 체중 감량의 효과가 더 뛰어났습니다.
친사회적인 측면이나 보건 문제에서도 인지부조화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친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인종 차별을 줄이고 과속 반대 캠페인, 쓰레기를 길거리에 버리지 말자는 캠페인 등에 대한 목적을 이루고 개개인을 독려하는 데 인지부조화가 사용됩니다. 보건 문제에서 건강과 관련된 캠페인을 촉진하기 위해 인지부조화가 이용되기도 합니다.
실패를 인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이런저런 핑곗거리를 찾으면서 자기 합리화를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개개인의 사생활에서의 사소한 결정부터 한 나라의 중대한 결정까지 사람들의 심리를 조종하는 이러한 법칙은 어디서나 예외 없이 적용됩니다.
출처: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