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네이티브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알리미 현아예요 :D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등 각종 전자기기를
손에서 놓지 못하고 하루 종일 끼고 사시는 분
계신가요?
이처럼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인터넷, MP3와 같은
디지털 환경을 태어나면서부터 생활처럼 사용하는
세대를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고 합니다.
오늘 디지털 네이티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어원
디지털 네이티브는 미국의 교육학자인
마크 프렌스키(Marc Prensky)가
2001년 그의 논문 Digital Native, Digital Immigrants를 통해 처음 사용한 용어인데요,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대중화,
1990년대 휴대전화와 인터넷의 확산에 따른
디지털 혁명기 한복판에서 성장기를 보낸
30세 미만의 세대를 지칭합니다.
2. 개념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명칭 외에도
인스턴트 메신저 세대, 디지털 키드, 키보드 세대,
밀레니얼 등 다양한 별명으로 지칭하기도 하지만,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마치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유자재로 구사한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말이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0대 이상의 기성세대는 이와 상반되는 개념으로
디지털 이민자(Digital Immigrants)로 불립니다.
디지털 이민자들은 디지털 언어를 구사함에 있어
마치 외국어를 구사할 때 모국어의 억양(Accent)이
남아있는 것처럼 디지털 시대 이전의 흔적이
남아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디지털 네이티브와 디지털 이주민은
온라인 상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습득하고
활용하는 측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의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네이티브에 해당하는 현재 미국의 대졸자들은
살아오면서 50만 개 이상의 광고를 시청하였고,
20만 개 이상의 이메일과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받아왔다고 전해졌습니다.
또한 그들은 TV 시청에 2만 시간 이상,
휴대폰 사용에 1만 시간 이상,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데 1만 시간 이상을
소비하며 성장했습니다.
한마디로 이들의 성장환경은 기성세대와
확연한 차이가 나타납니다.
이러한 성장환경의 차이는
디지털 네이티브의 두뇌 구조를
기존의 사람들과 다르게 만들었습니다.
디지털에 익숙한 정도의 차이에 따라
뇌의 부위 역시 활성화된 정도도 다르다는 사실이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
3. 행동양식
혹시 여러분들 중에 텔레비전을 시청하면서
컴퓨터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실 수 있는 분
계신가요?
가능하다고 대답한다면
여러분들은 소위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네이티브는 성장 과정에 의해 멀티태스킹(Multitasking)과
병렬처리(Parallel Processing)와 같이
엄청난 양의 정보 속에서도
다양한 일은 동시에 처리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와
인스턴트 메신저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할 때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주고받아왔기 때문에
신속한 반응을 추구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에도
능숙함을 보이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Web 2.0 기술의 대두로 발달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Networking Service)의
필두에 자리한 블로그(Blog), 트위터(Twitter) 등
가상의 자기 공간에서도 적극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주저하지 않는
청중(Audience)이기보다는
주연 배우(Actor)가 되길 원하는 것과 같이
적극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전에는 사람들은 전통 미디어를 통해
비판적 사고를 하지 못하는 수동적인 수용자였다면,
오늘날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매개로
자신의 생각을 보여주는 프로슈머(prosumer),
즉 생비자로 거듭났습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비약적으로 성장한 이유도
바로 여기서 찾아볼 수 있겠죠?
마지막으로 그들은 ‘놀 때 놀고,
일할 때 열심히 일하자’는 놀이와
일의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서
일상 자체를 놀이나 게임처럼 인식하여
지루하고 따분한 일보다는
도전적이고 재미있을 때 훨씬 더 적극적으로
몰입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4.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기존의 디지털 이민자 계층이 사회적 다수로
사회 전반에 포진한 가운데
디지털 네이티브가 사회로 점차 진출해 가면서
많은 변화와 활기를 던져 주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최근 들어서 급격한 성장 속도를 자랑하는
오픈 마켓(Open Market)이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이들에 의해 폭발적으로 성장한 분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공간인 앱스토어(AppStore),
살아가는 데에 유용한 지식을 공유하고 있는
블로거(Blogger), Web 2.0과 같은
개방적 글로벌 라이프스타일은
그들, 즉 디지털 주도 세력이 이끌어가는
세상의 단면이기도 합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더 이상 디지털 기기는
낯선 것이 아닌 아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처럼 디지털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디지털 환경이 우리 삶에 가져다주는
편리함 외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럿 문제점들도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