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프로포폴의 효과와 부작용

건강, 병원

by 현아야 2020. 2. 18. 23:25

본문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건강지킴이 현아입니다 :D

 

최근 국내에서 유명인들이 상습적으로 프로포폴을 투약하여

사회가 떠들썩합니다.

 

수면 마취제로 흔히 알고 있는 프로포폴이 어떤 효과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에

연예인을 비롯한 재벌들이 끊임없이 투약하는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프로포폴이 무엇이며 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구석구석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프로포폴이란?

 

프로포폴맥 주사용 마취 유도제로써

짧은 작용 시간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프로포폴을 투여하게 되면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GABA가 증가되어

의식이 소실될 수 있는 작용이 일어납니다.

 

그럼 프로포폴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지 궁금해질 수밖에 없는데요,

 

간단한 시술을 받는 환자에게 전신마취를 유도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뿐만 아니라,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미다졸람(midazolam)을 대신하여 사용되기도 했으나 점점 프리세덱스(precedex)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프로포폴은 현재 50개가 넘는 국가에서 허용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의 복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의 부족으로 신생아에게 사용하는 것은 인정되고 있지 않지만

출산을 앞둔 산모에게는 경험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복제약은 포폴입니다.

미국에서는 디프리반(Diprivan)’이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2. 효과

 

프로포폴의 효과는 무엇일까요?

 

소량으로 프로포폴을 주입했을 땐 가벼운 수면상태가 됩니다.

 

하지만 투여되는 용량이 증가할수록 호흡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 확실한 인공환기를 받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합니다.

 

일례로 미국의 유명한 가수 마이클 잭슨은

불면증으로 프로포폴을 과량으로 주입받았는데,

이로 인해 호흡이 중지되어 사망하였습니다.

 

프로포폴의 이러한 호흡이 억제되는 효과는 마약성 진통제 및 다른 수면유도제와 시너지 효과를 나타냅니다.

 

무의식 상태를 만들거나 기억상실의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통증을 감소해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수면 상태에서 통증을 가하면 통증이 고대로 뇌에 전달되어 혈압이나 심박수가 상승되는 등의 생리적 반응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전신 마취를 하려면 합성 마약인 레미펜타닐(remifentanil)과 펜타닐(fentanyl)을 동시에 투여하게 됩니다.

 

또한 몸과 마음이 편안해지며, 황홀한 감정을 느낄 수 있어

프로포폴에 대한 의존성이 강해지고 계속해서 찾게 되는 것입니다.

 

 

3. 부작용

 

모든 의약품에는 부작용이 따를 수밖에 없는데요,

프로포폴 역시 제외는 아닙니다.

 

프로포폴을 투여하게 되면 의식을 잃거나 진정이 되면서

생체적인 조짐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동맥과 정맥이 확장되어 혈압이 떨어지는 동시에

심장이 수축되고 심박수 또한 저하됩니다.

 

혈압과 심박수가 함께 떨어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인데요,

특히 연령이 많은 사람에게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기 쉬워

중환자나 노인의 경우 투여량을 반드시 감소시켜야 합니다.

 

게다가 정맥의 통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작은 혈관에 주사를 놓는 경우 통증이 더욱 쉽게 느껴집니다.

 

프로포폴을 투여할 때 발생되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는데요,

 

오늘날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lidocaine)을 혼합하여 투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물과 같은 수용성 액체에 잘 녹지 않는 프로포폴은 줄곧 달걀의 레시틴 성분이나 콩기름 성분을 사용하여 녹여왔습니다.

 

이 녹이는 성분으로 인해 정맥에 주사를 놓을 경우 상당한 고통을 동반하는데요,

현재는 리푸로(Lipuro)제제 등 수용액을 녹이는 성분을 개선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달걀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대부분 달걀의 단백질로 알려진 알부민(albumin)에 의한 것이므로

프로포폴에 사용되는 달걀의 레시틴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프로포폴을 처음으로 마약류로 지정한 나라입니다.

 

프로포폴은 수면 마취제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약물을 남용하다간 생명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중독이나 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위키피디아

'건강, 병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관절에 도움 되는 음식  (0) 2020.02.24
억울함을 극복하는 방법  (0) 2020.02.23
피로감을 이기는 방법  (0) 2020.02.17
여드름 흉터 빨리 없애는 방법  (0) 2020.02.15
배변 활동 덜 하는 방법  (0) 2020.02.1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